맨위로가기

마하파드마 난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하파드마 난다는 난다 왕조의 시조로, 출신에 대한 다양한 설이 존재하며 정확한 즉위 연대 역시 불분명하다. 푸라나 문헌에서는 샤이슈나가 왕조의 마지막 왕과 수드라 여성 사이에서 태어난 아들로 묘사되지만, 자이나교 문헌에서는 이발사와 창녀의 아들로, 그리스 역사가 쿠르티우스는 이발사와 왕비 사이에서 태어난 아들로 기록하는 등 출신에 대한 기록이 일치하지 않는다. 그는 북인도의 여러 크샤트리아 왕조를 멸망시키고 칼링가국을 정복했으며, 자유 사상가와 신흥 종교를 보호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난다 왕조 - 다나 난다
    다나 난다는 기원전 329년부터 마가다를 통치한 난다 왕조의 마지막 왕으로, 차나키야와 찬드라굽타 마우리아의 반란으로 패배하여 전사하면서 난다 왕조는 멸망하고 마우리아 제국이 들어섰으며, 불교, 자이나교, 푸라나 등 다양한 전통에서 기록이 전해지고 그리스 기록에서는 아그라메스로 묘사된다.
  • 마가다 국왕 - 마하난딘
    마하난딘은 시슈나가 왕조의 마지막 왕이었으며, 사생아인 마하파드마 난다에게 살해되었다.
  • 마가다 국왕 - 다나 난다
    다나 난다는 기원전 329년부터 마가다를 통치한 난다 왕조의 마지막 왕으로, 차나키야와 찬드라굽타 마우리아의 반란으로 패배하여 전사하면서 난다 왕조는 멸망하고 마우리아 제국이 들어섰으며, 불교, 자이나교, 푸라나 등 다양한 전통에서 기록이 전해지고 그리스 기록에서는 아그라메스로 묘사된다.
  • 기원전 4세기 인도의 군주 - 찬드라굽타 마우리아
    찬드라굽타 마우리아는 기원전 4세기 말 북인도를 통일하고 마우리아 제국을 건국했으며, 알렉산드로스 대왕 사후 혼란한 시기를 틈타 세력을 확장하고, 셀레우코스 1세 니카토르와의 전쟁에서 승리하여 영토를 확장한 인도의 군주이다.
  • 기원전 4세기 인도의 군주 - 마하난딘
    마하난딘은 시슈나가 왕조의 마지막 왕이었으며, 사생아인 마하파드마 난다에게 살해되었다.
마하파드마 난다 - [인물]에 관한 문서
개요
마하파드마 난다의 은화 1 카르샤파나
마하파드마 난다 또는 그의 아들들의 은화 1 카르샤파나 (기원전 4세기)
왕조난다 왕조
아버지마하난딘
후계자다나 난다 (또는 판두카)
자녀스칼파
다나를 포함한 8명의 아들
통치
재위기원전 345년경 – 기원전 329년
전임자마하난딘
왕국마가다
생애
사망일기원전 329년

2. 기원

2. 1. 마하파드마의 출신

난다 왕조의 시조 마하파드마의 출신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설이 전해진다. 푸라나 문헌에 따르면, 마하파드마는 샤이슈나가 왕조의 마지막 왕 마하나딘과 수드라 여성 사이에서 태어난 아들이었다. 자이나교 문헌에서는 난다 왕조의 시조가 이발사와 창녀의 아들이라고 전한다. 그리스 역사가 쿠르티우스는 난다 왕조의 시조가 이발사와 왕비 사이에서 태어난 아들이라고 기록했다. 이처럼 기록이 일치하지 않아 마하파드마의 정확한 출신은 알 수 없다. 즉위 연대에 대해서도 기원전 382년 설과 기원전 364년 설 등이 있어 확정되지 않았다.

불교 경전에서는 마하파드마가 아닌 우그라세나를 난다 왕조의 첫 번째 왕으로 보기도 한다.[2] 우그라세나는 마하파드마의 또 다른 이름이었을 가능성도 있다.[2] 불교 경전은 우그라세나를 "알 수 없는 계통" 출신으로 묘사하며, ''마하밤사-티카''에 따르면 그는 변경 지역 출신으로 강도단에 붙잡혔다가 그들의 지도자가 되었다. 그리스-로마 자료는 알렉산드로스 3세의 인도 원정 당시 난다 왕을 "아그라메스"라고 부르는데, 이는 산스크리트어 "아우그라세니야"(우그라세나의 아들 또는 후손)의 변형일 수 있다.

푸라나 문헌에서 마하파드마는 88년간 왕위에 있었다고 전해지나, 이는 전설로 여겨진다. 그러나 칼링가국과 쿤타라 지방의 전승 및 비문에는 난다 왕의 지배를 언급하는 내용이 있어, 실존 인물일 가능성이 높다. 푸라나 문헌에서는 마하파드마가 북인도의 크샤트리아 출신 왕조들을 멸망시킨 무서운 수드라 왕으로 묘사되며, 베다의 권위를 인정하지 않는 자유 사상가나 신흥 종교가들을 보호하여 칼리 유가(파멸의 시대)를 초래했다고 부정적으로 묘사된다.

마하파드마 왕의 치세에 마케도니아 왕국 테메노스 왕조의 바실레우스인 알렉산드로스 3세가 펀자브 지방에 진공했으나, 난다 왕조의 국력이 강대하다고 판단하여 전쟁을 피했다고 전해진다. 마하파드마 왕은 칼링가국을 정복하고 전리품으로 자이나교지나 상을 가져갔으며, 코살라국도 마하파드마에게 굴복했을 가능성이 있다.

푸라나 문헌에 따르면 마하파드마의 왕위는 장자인 스칼파가 계승했다.

2. 2. 즉위 연대

마하파드마의 즉위 연대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설이 있다. 인도학자 F. E. 파지터는 기원전 382년으로 추정했고, 역사가 R. K. 무케르지는 기원전 364년으로 추정했으며, 역사가 H. C. 레이차우드리는 대략 기원전 345년으로 추정했다. 이처럼 즉위 연대 역시 확정되지 않았다. 난다 왕조의 시작은 기원전 5세기 초로 거슬러 올라가기도 한다.[1]

3. 통치

푸라나 문헌에 따르면, 마하파드마는 마지막 샤이슈나가 왕 마하나딘과 수드라 여성 사이에서 태어난 아들이었다. ''푸라나''는 그를 ''에카라트''(유일한 주권자)이자 ''사르바-크샤트란타카''(모든 ''크샤트리야''의 파괴자)로 묘사한다.

기원전 325년경 난다 제국의 추정 영토


마하파드마는 마이탈라스, 카세야스, 이크슈바쿠스, 판찰라스, 슈라세나스, 쿠루스, 하이하야스, 비티호트라스, 칼링가스, 아슈마카스 등 여러 크샤트리아 왕조를 멸망시켰다고 전해진다. ''마츠야 푸라나''는 마하파드마가 88년이라는 매우 긴 기간 동안 통치했다고 기록하고 있지만, ''바유 푸라나''는 그의 통치 기간을 28년으로 언급한다. 푸라나에서는 마하파드마의 8명의 아들이 12년 동안 차례로 통치했다고 하지만, 이 아들 중 수칼파의 이름만 전해진다.

마하파드마는 칼링가국을 정복하고 자이나교의 지나 상을 전리품으로 가져갔으며, 코살라국도 마하파드마에게 굴복했을 가능성이 있다. 그는 베다의 권위를 부정하는 자유 사상가나 신흥 종교를 보호하기도 했다.

3. 1.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침입

4. 멸망

5. 평가

5. 1. 긍정적 평가

5. 2. 부정적 평가

참조

[1] 서적 Readings in political history of India: Ancient, Mediaeval, and Modern https://books.google[...] B.R. / Indian Society for Prehistoric and Quaternary Studies
[2] 서적 An Archaeological History of Religions of Indian Asia https://books.google[...] Paragon Hous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